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기준, 압구정·반포 아파트 보유세 시뮬레이션

by 하수오1 2025. 7. 3.
반응형

 

1. 보유세란?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

보유세는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에게 매년 부과되는 재산세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추가로 부과되는 종합부동산세(종부세)를 의미합니다. 2025년 현재 기준으로는 공시가격 9억 원 초과 주택을 보유한 경우 종부세 납부 대상이 됩니다.

2. 2025년 기준 공시가격 추정

2025년 공시가격은 2024년 대비 평균 3.5% 상승한 것으로 추정되며, 다음은 대표 아파트 기준 공시가격 예시입니다.

아파트명 전용면적 2025년 공시가격 예상 보유세 (1주택자)
압구정 현대 7차 84㎡ 25억 원 약 580만 원
반포자이 84㎡ 21억 원 약 460만 원
아크로리버파크 112㎡ 32억 원 약 780만 원

※ 본 계산은 1가구 1주택 기준, 장기보유공제 및 연령공제 없이 단순 세율 적용 예시입니다. 실제 보유세는 보유기간, 연령, 공제 조건, 주택 수에 따라 다릅니다.

3. 세금 계산 방식 요약

① 공정시장가액 비율은 2025년 현재 80%로 유지됩니다.

② 재산세는 공시가격 구간에 따라 누진 세율로 적용되며, 종부세는 과세표준 6억 원 초과분에 대해 별도 부과됩니다.

  • 재산세율: 0.1% ~ 0.4% (구간별)
  • 종부세율: 0.5% ~ 2.0% (1주택자 기준)
  • 공제: 1세대 1주택자는 11억 원까지 종부세 공제

4. 다주택자일 경우 보유세는?

만약 2주택 이상 보유 시, 종부세 중과 대상이 되며 2025년 기준 중과세율 폐지되었지만 기본 세율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다만 주택 수에 따라 공제 금액이 줄어들거나 일부 지역은 지방세 추가 부과 가능성도 있으므로 세무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5. 절세 팁: 장기보유 & 고령자 공제

  • 장기보유공제: 최대 40% (보유기간 15년 이상)
  • 연령공제: 만 60세 이상부터 적용, 최대 30%
  • 중복 적용 가능: 최대 80%까지 보유세 공제 가능

장기적으로 자산을 보유할 계획이라면, 이러한 제도 활용으로 보유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6. 결론적으로 보유세는 '보유전략'의 기준이 된다

압구정, 반포처럼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의 경우, 단순 자산가치 외에도 보유세 부담을 고려한 전략이 중요합니다. 특히 2025년 이후에도 공시가격 현실화 정책이 이어진다면, 보유세는 더욱 중요한 재무 요소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실제 보유 목적, 보유 기간, 자산 운용 계획을 고려해 판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고급 아파트

반응형